고성은 우리나라에 두 곳이 존재하는 독특한 지명을 가진 지역으로, 강원도와 경상남도에 각각 자리하고 있습니다. 같은 이름을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역사와 문화를 품고 있는 이 두 지역의 지명은 오랜 세월에 걸쳐 변화와 의미를 담아 왔습니다. 고성이라는 이름의 어원과 유래, 그리고 각 시대별 변천사를 살펴보면, 단순한 행정 명칭을 넘어 지역의 정체성과 삶이 녹아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의 맛과 현대인의 입맛을 모두 사로잡은, 요즘 뜨는 고성 향토음식 5가지와,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 두 고성의 대표 관광코스를 소개합니다.
고성 지명의 과거와 현재 (유래, 옛이름, 변천사)
고성(高城)은 한자로 ‘높을 고(高)’와 ‘성 성(城)’을 사용합니다. 이는 ‘높은 성곽’ 또는 ‘고지대에 세운 성’을 뜻하며, 두 지역 모두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시사합니다. 강원 고성의 경우, 삼국시대부터 동해안 방어의 전략적 거점이었고, 경남 고성은 남해안 방어와 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습니다. ‘고성’이라는 이름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이르러 행정 명칭으로 공식화되었으며, 이전에는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리다가 전략적·지리적 특징을 반영해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지명 속에는 지리적 조건뿐 아니라 당시의 사회·정치적 필요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강원 고성의 옛이름은 삼국시대에는 ‘고시성(古尸城)’ 또는 ‘고시(古尸)’로 불렸습니다. ‘고시’는 고대어로 ‘옛 성’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으며, 이후 고려시대에는 ‘고성군’으로 개칭되었습니다. 경남 고성의 경우, 백제와 신라의 경계 지역으로 ‘고자(古自)’ 또는 ‘고자군’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고자’는 ‘옛부터 스스로 지켜온 땅’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며, 고려시대에는 ‘고성군’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두 지역 모두 옛이름에 ‘옛(古)’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연속성과 유서 깊은 배경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를 거치며 두 고성은 각기 다른 행정 구역과 역할을 맡게 됩니다. 강원 고성은 동해안의 해상 방어와 관동팔경의 관광 중심지로, 경남 고성은 남해안 어업과 농업, 해상 교역의 거점으로 성장했습니다. 근대 이후 행정 개편과 함께 현대적 교통망이 확충되면서, 두 지역은 관광·산업·문화에서 새로운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특히 강원 고성은 설악산, 화진포 등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며, 경남 고성은 공룡 화석지와 당항포 대첩지 등 역사·자연 관광지가 함께 어우러집니다. 오늘날 ‘고성’이라는 이름은 과거의 전략적 요충지라는 이미지를 넘어, 관광과 문화의 상징으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요즘 뜨는 고성 향토음식 TOP5 (전통, 맛집, 추천)
1. 대구탕 – 시원하고 담백한 동해의 맛-강원 고성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인 대구탕은 겨울철 제철 대구를 사용해 시원하고 담백한 맛을 자랑합니다. 살이 통통하게 오른 대구를 무, 콩나물, 미나리와 함께 끓이면 국물은 맑고 개운해 숙취 해소에도 좋습니다. 최근에는 관광객을 위해 매운맛 버전인 ‘대구매운탕’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현지 어민이 직접 운영하는 식당에서 먹는 맛은 더욱 특별합니다. 2. 공룡갈비 – 경남 고성의 별미-경남 고성은 ‘공룡의 고장’으로 유명한데, 이를 테마로 한 ‘공룡갈비’가 지역 명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실 이름은 재미있게 지었지만, 소갈비를 두툼하게 썰어 특제 양념에 재운 후 숯불에 구워내는 요리입니다. 달콤하고 짭조름한 맛이 어우러져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며, 관광객들에게는 사진 찍기 좋은 재미있는 메뉴명 덕분에 인기가 높습니다. 3. 오징어순대 – 바다의 풍미 가득-강원 고성 바다에서 잡은 오징어를 통째로 손질해 속을 채운 ‘오징어순대’는 지역 대표 별미입니다. 속 재료로는 당면, 두부, 채소, 돼지고기를 넣어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냅니다. 찐 뒤에 썰어 초장이나 간장 소스에 찍어 먹으면 담백하면서도 깊은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치즈나 해물 등을 넣은 퓨전 버전도 등장했습니다. 4. 해물파전 – 바다와 들이 만난 맛-강원과 경남 고성 모두에서 즐기는 해물파전은 신선한 해산물과 지역에서 재배한 파를 듬뿍 넣어 부친 전입니다. 바삭한 겉면과 촉촉한 속살, 그리고 해물의 풍미가 어우러져 여행객들의 입맛을 사로잡습니다. 특히 비 오는 날 막걸리와 함께 즐기면 금상첨화이며, 지역 장터와 포장마차에서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5. 멍게비빔밥 – 바다향 가득한 건강식-경남 고성의 바다에서 채취한 멍게를 주재료로 한 멍게비빔밥은 봄철 별미로 유명합니다. 잘게 썬 멍게를 밥 위에 올리고 초고추장과 참기름을 넣어 비비면, 바다향이 입안을 가득 채웁니다. 멍게 특유의 향과 식감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한 번 맛들이면 중독성이 강한 음식입니다. 최근에는 멍게를 살짝 구워 올린 비빔밥도 등장해 관광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고성의 향토음식은 바다와 육지의 풍요로움이 어우러진 결과물입니다.
요즘 뜨는 고성 관광코스 (여행지, 풍경, 체험)
강원 고성의 여행은 바다와 산, 호수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첫 코스로 추천하는 곳은 ‘두타연’입니다. 군사분계선 인근에 위치한 이곳은 에메랄드빛 호수와 울창한 숲이 어우러진 비경지로, 사전 예약을 통해만 입장이 가능해 한적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어서 ‘화진포 해변’과 인근 화진포 호수를 둘러보면, 바다와 호수가 만나는 독특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오후에는 ‘설악산 자락의 백촌마을’에서 계곡 트레킹을 즐기고, 지역 맛집에서 대구탕이나 오징어순대를 맛보면 하루가 알차게 마무리됩니다. 경남 고성은 남해의 여유로움 속에서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당항포관광지’는 임진왜란 당시 승전지로, 박물관과 전시관이 함께 있어 역사 공부와 산책을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해양레저 체험도 운영돼 가족 단위로 인기가 많습니다. 이어서 ‘상족암군립공원’에서는 해안 절경과 공룡 발자국 화석지를 탐방할 수 있습니다. 오후에는 ‘고성공룡세계엑스포공원’에서 대형 공룡 모형과 VR 체험을 즐기고, 저녁에는 바닷가 펜션에서 신선한 해산물 요리를 맛보면 좋습니다. 두 고성 모두 요즘 여행 트렌드에 맞춘 감성 명소가 늘고 있습니다. 강원 고성의 ‘아야진 해변 카페 거리’는 푸른 바다 전망을 즐기며 커피 한 잔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인스타그램 인기 포토존이 많습니다. 경남 고성의 ‘마암면 해안도로’는 드라이브 코스로 유명하며, 해 질 무렵 남해의 석양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또한, 두 지역 모두 전통시장이 활성화돼 있어, 지역 특산품과 향토음식을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강원 고성과 경남 고성은 각기 다른 풍경과 체험거리를 제공해, 어느 곳을 선택하든 만족스러운 여행이 가능합니다. 바다·산·호수를 함께 즐기고 싶다면 강원 고성, 역사와 체험형 관광을 원한다면 경남 고성을 추천합니다. 요즘 뜨는 코스를 따라 여행하면, 고성에서의 하루가 훨씬 특별해질 것입니다.